
Out Of Memory등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면 OS인 AIX는 dump, core, snap 파일을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안내한다. 그런데 파일 자체의 크기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파일당 1~3GB) 자주 DISK-Full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덤프파일들이 저장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명령어를 알아보기로 한다. 순서는 1. "java -Xdump:what"으로 저장 위치 확인 2. ".profile.sh" 파일수정 3. 운영 user 변경 4. "java -Xdump:what"으로 저장 위치 변경 확인 1. 먼저 java -Xdump:what 명령으로 dump 파일들의 저장 위치를 확인한다. 2. 일반적으로 별도의 로그파일들을 분리하여 파일시스템을 만들고(여기서는 /log라 하자) 생성 경로로..
System 운영 중에 JEUS를 재기동하는 스크립트가 가끔 꼬여 정상 재기동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원인을 찾아보니 정지 명령과 기동 명령이 바로 실행되어 프로세스가 정지중에 node manager가 기동시켜 문제가 발생한다. stop-cluster A1 start-cluster A1 식으로 바로 기동되니 정지하는 시간을 안주고 바로 기동되어 node manager와 꼬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이럴때는 스크립트에 sleep이라는 명령어를 주면 된다. stop-cluster A1 sleep 60 //
학교 시스템 중 시간이 안 맞는 서버가 있어서 date -s 시: 분 : 초 예) date -s 13:00:00(13시 00분 00초)로 변경했는데 date: cannot set date : 명령이 허용하지 않음 으로 뱉는다. T.T. permission을 변경해보고 root 권한을 다른 user에 줘 보는 등 2어 시간 헤매다가 서버보안(Secuve TOS) 설치한 게 생각났다. TOS라는 서버보안 제품을 사용하는데 설정 모드(일반 모드)로 세팅되어 있는데 명령어가 안 먹힌다. 이걸 테스트 모드로 변환 후 명령어 실행하니 명령어가 먹힌다. 으~~ 강력한 서버보안.. 예전에 공군 홈페이지 이관 프로젝트할 때도 이넘의 서버보안 덕분에 명령어들이 안 먹힐 때가 종종 있었는데... 아무튼 다 해보고 안 되는 ..
운영하고 있는 HP gen8서버의 2DISK를 미러링하였다. 하루 정도 걸리는 작업으로 개념은 '거울(mirror)처럼 반사해서 보여 준다‘는 의미로 물리적 디스크를 2개를 하나의 볼륨으로 묶어서 사용자는 디스크 1개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2개의 디스크에 사용한 내용이 동시에 기록된다. 풀어서 이야기하면 A디스크의 거울은 B로 A디스크에 C파일을 생성하면, A, B 디스크에 C파일이 생성된다. 주로 디스크 장애에 대비되며(A디스크가 깨지서 장애가 나면 B디스크에 똑같이 내용이 있으므로 B디스크로 운용) HP는 바이오스의 APP에서 설정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취월장
- 칠곡 자전거 대회
- 여름 자전거 대회
- 베스킨라빈스 포켓몬
- 오렌지가재
- 가재
- 반려곤충
- OKOK앱
- 가재 탈피
- 대구국제마라톤
- GCP #GCP GIFT#
- i7-1260P
- 갖고싶다 고양이
- 캐시워크
- ChatGPT
- 다이어트
- 고양이
- 대구 고양이 카페
- 도로이
- 대구 야간 라이딩
- 애드센스
- 서브 40
- 경산 국수
- chatgpt 정의
- 제주 마음 샌드
- decode
- 애디그램
- 혁신도시 국수
- 타임캐시
- 장수풍뎅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