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니터링이라 함은 머신이 어떻게 작동여부를 관찰하는 활동을 말한다. 운영자(Operator)는 머신이 정상여부를 여러 지표를 통해 판단한다.

WAS를 모니터링하는데 일반적으로 중요시하는 지표가 있다.

1.  WAS(Server)에는 몇 명의 사용자(Session 또는 동시 접속자)가 사용 중인가?

2. JVM(Java Virtual Machine)의 메모리 사용은 적정히 이루어 지는가?

3. Pool(Thread-pool, connection-pool)에 걸려 적체되어 있는 요청은 없을까??

등 우선 생각나는 중요한 지표를 이렇다. 뭐  Jennifer같은 AMS 툴을 사용하면 바로 확인 가능하지만 없다고 가정하고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오늘은  1번 사항인 Managed Server에서  몇 명의 사용자가 접속해서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어떻게 모니터링 하는지 정리하겠다.

먼저 테스트 환경은 아래와 같다.

webtob에 8080포트를 활용해서 server1이 연결되어 서비스 하고있고,  webtob vhost 8081포트를 활용해서 server2이 연결되어 서비스를 하고 있다.  좌측 메뉴에서 Monitoring->Web->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서버명을 클릭한다.

클릭하며 여러가지 내용들이 나오는데

Tmaxsoft의 공식 메뉴얼을 확인하면

Standard session information 선택된 서버의 웹 엔진에 동작 중인 세션 매니저의 통계 정보를 표시한다. 기본적으로 세션의 개수를 표시한다.
Distributed session information 선택된 서버 웹 엔진에 동작 중인 세션 매니저의 통계 정보를 표시한다. 해당 정보는 클러스터 환경에서만 표시되며, 매니저가 가진 세션과 백업 서버의 정보를 표시한다.
Thread information 선택된 서버의 웹 엔진에 설정된 각각의 리스너 및 커넥터의 Thread Pool 내의 Thread들의 상태 통계 정보를 표시한다.
Request information of contexts 선택된 서버의 웹 엔진에 배치된 웹 애플리케이션별로 누적 처리 요청 수, 누적 요청 처리시간, 평균 요청 처리시간을 표시한다. [CLEAR] 버튼을 클릭하면 정보가 초기화된다.
Memory information 선택된 서버의 총 VM 메모리와 사용 가능한 VM 메모리를 표시한다

이라고 나온다. Standard는 표준의 개념보다는 단독 서버의 세션 정보로 이해하면 좋을 듯하다. Distributed session은 아직 클러스터 환경이 준비되지 않아 표시가 안된다. 클러스터링도 차후에 다뤄보고자 한다. Thread information 한 개의 server에 여러가지 리스너 및 커넥터가 연결되는데 분류별 count 갯수를 확인할 수 있다. Memory information은 약간은 생뚱 맞기는 하다. 요청 Counting을 하다 갑자기 메모리 모니터링으로 훅 지나가버린다. 뭐 중요 지표니 이해하고 이 메모리값은 계속해서 점점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패턴으로 동작해야 정상이다. 사용률의 변화가 없다면 hang을 의심해 볼수 있다. 이때 해결 방법은 dump후 재기동해주는 방법이 있다.

http://localhost:8080/examples의 요청이 들어온다면 webtob에서는 http://localhost:8080 까지 읽어들이고 /examples라는 URI 요청에 대해서는
JSV 즉, JEUS에서 처리하라고 WEBTOB 리스너를 통해 넘기게 된다.

크롬에서 세션을 추가해서 카운팅이 어떻게 되는지 호출해 본다.

아래와 같이 Counting이 +1이 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